최근 인터넷 및 스마트폰이 대중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삶의 편리한 점도 있지만 유아부터 어른까지 전연령에서 스마트폰 중독의 부작용들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그중 하나가 스마트폰에 너무 집착하는 아이 혹은 어른들의 성향이 관찰되고 있으며, 이러한 스마트폰 중독의 문제들이 이제는 개인의 문제를 넘어 국가단위의 문제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나라에서는 공공서비스로 무료상담 및 해결을 위한 국가차원의 지역별 18개소의 상담센터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스마트폰과의존) 문제로 심각한 부작용을 겪고 있는 계층, 즉 고위험군 등을 대상으로 직접 방문상담, 온라인 상담, 전화상담 등을 통해 포괄적인 치료를 위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죠. 아이를 키우는 부모로써 큰 문제가 아닐 수 없습니다.
상담을 통한 스마트폰 중독 해결방법
스마트쉼센터라는 국가에서 운영하는 스마트폰 중독 상담콜을 통해 상담 및 문의 등을 전문가들로부터 무료로 상담을 받을 수 있는 공공기관을 이용하여 해결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스마트폰 중독은 현재 국가차원의 문제이며, 2002년부터 공공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그때 당시에는 인터넷중독에 대한 상담을 하는 기관이었죠. 현재는 스마트쉼센터라는 이름으로 공공서비스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 국민이면 무료로 상담 및 검사를 받으실 수 있으니 꼭 필요하신 분들은 상담을 받으시면 좋을 듯합니다.
상담기관 : 스마트 쉼센터
- 기관 업무 : 건강한 디지털 문화 조성을 위한 캠페인, 전문상담, 전문인력양성, 예방교육, 연구 및 조사
- 상담 내용 : 인터넷, 스마트폰 중독 관련한 문제 해결을 위한 무료상담
- 운영 시간 : 평일 9시~22시까지, 토요일 9시~18시까지
- 지역별 상담센터(18개소) : 서울, 인천, 부산, 제주, 전북, 전남, 경북, 경남, 충북, 충남, 경기 남, 북부, 강원, 세종, 울산, 광주, 대전, 대구
지역 | 기관명 | 주소 | 전화번호 |
서울 | 서울스마트쉼센터 | 서울시 중구 무교동 77(청계천로 14, 5호선 광화문 5번출구, 동아일보 맞은편) | 02-756-0075 |
인천 | 인천스마트쉼센터 | 인천광역시 미추홀구 석정로 229(도화동 206-2) JST제물포스마트타운 12층 | 032-725-3230 |
대전 | 대전스마트쉼센터 | 대전광역시 서구 둔산동 1420(둔산로 100) 대전시청 4층 - 시청역 2번 출구 | 042-270-3223 |
대구 | 대구스마트쉼센터 | 대구광역시 북구 산격동 1445-3(연암로 40) 대구시청별관 102동 1층 | 053-768-7978 |
울산 | 울산스마트쉼센터 | 울산광역시 남구 신정2동 661-1(중앙로 153) 괴하빌딩 2층 | 052-256-5234 |
부산 | 부산스마트쉼센터 | 부산광역시 해운대구 우동 1475(센텀동로 41) 센텀벤처타운 4층 부산정보문화센터 - 2호선 센텀시티역 4번 출구에서 도보로 5~10분 | 051-744-7517 |
광주 | 광주스마트쉼센터 | 광주광역시 서구 치평동 1200 (내방로 111) 광주광역시청 3층 | 062-613-5790~1 |
경기남부 | 경기남부스마트쉼센터 |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효원로 308번길 34(인계동) 경기도여성비전센터 3층 | 031-8008-8044~6 |
경기북부 | 경기북부스마트쉼센터 | 경기도 의정부시 범골로 137 경기도일자리재단 (의정부동 510, 구. 경기북부여성비전센터) - 1호선 의정부역 1번출구에서 도보 10분, 경전철 의정부역 2번출구에서 도보 5분 | 031-836-8805~7 |
강원 | 강원스마트쉼센터 | 강원도 춘천시 봉의동 산15 (중앙로1) 강원도청 내 청사관리동 2층 | 033-249-3077 |
충북 | 충북스마트쉼센터 | 충북 청주시 청원구 오창읍 각리1길 7 (충북과학기술혁신원) 401호 | 043-211-8275 |
충남 | 충남스마트쉼센터 | 충남 홍성군 홍북읍 충남대로 21, 충남도청 별관 207호 | 041-635-5834~6 |
전북 | 전북스마트쉼센터 | 전라북도 전주시 완산구 경원동3가 14-6 (현무2길 25) 전북 정보산업지원센터 1층 | 063-288-8495~7 |
전남 | 전남스마트쉼센터 | 전라남도 여수시 봉강동 158 (봉강 2길 27) IT교육센터 1층 | 061-642-1971~3 |
경북 | 경북스마트쉼센터 | 경북 포항시 북구 삼호로 25번길 21 (구, 덕수동 42-3) | 054-242-0076 |
경남 | 경남스마트쉼센터 | 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용호동 5-1 (용지로 248) 경남발전연구원 102호 | 055-281-7333~5 |
제주 | 제주스마트쉼센터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도남동 662 (청사로 59) 정부제주지방합동청사 바당동 5층 | 064-723-2670 |
세종 | 세종스마트쉼센터 | 세종특별자치시 한누리대로 2107, 보람종합복지센터 1층 | 044-300-2471~3 |
상담절차 종류
- 센터 방문상담 : 상담 신청 -> 관리자 확인 -> 전문상담사 선정 -> 상담사가 신청자에게 연락(스케줄에 따른 대기시간 존재)
- 가정방문상담 : 가정방문상담 신청서 작성 후 전문상담사와 일정 조율 후 가정으로 방문 상담(상담자 외 1인 이상 체류 후 상담 가능)이 가능하며, 2개월 이내 방문상담(6회, 약 90분 내외) 및 전화상담(2회)으로 무료 서비스가 제공됩니다. 다만 상담 신청 기간은 3월에서 11월까지이며, 예산 소진에 따라 일정이 조기 변경될 수 있으니 이점 참고하셔야 됩니다.
- 온라인 상담 : 전화상담방법과 게시판 상담방법이 있으며 첫 번째, 전화상담방법은 상담전화(전국 대표전화 : 1599-0075)를 이용하여 무료로 상담을 받으실 수 있으며, 공공서비스 이기 때문에 가까운 지역의 상담센터로 연결됩니다. 두 번째 방법은 게시판상담방법으로 스마트쉼센터 홈페이지에 상담글을 올리면 전문가의 답변글을 받으실 수 있습니다. (상담글 비공개)
스마트폰 중독 설문 조사가 가능한 대상
홈페이지에서 제공하고 있는 스마트폰 중독 여부 조사를 통해 간단히 체크할 수 있습니다. 설문조사를 통해 고위험, 잠재적 위함, 일반 사용자 군으로 분류될 수 있습니다.
- 유아, 아동을 대상으로 관찰자(부모, 교사) 바라보는 척도
- 청소년 스스로 체크할 수 있는 척도
- 성인 스스로 체크할 수 있는 척도
이외에도 스마트폰 중독 관련한 예방교육이 필요한 수요기관이 있다면, 전문강사가 파견되어 예방교육을 지원하는 서비스가 있습니다. 신청기간은 매년 3월에 스마트쉼센터 홈페이지에 게시되며, 예방교육이 필요한 수요기관에서 온라인 신청으로 가능하지만, 지역별로 선착순으로 마감이 되는 점을 유의하시면 좋을 듯합니다. 디지털 시대에 스마트폰 사용을 할 수 밖에 없지만 앞으로는 통제 가능한 사용하는 방법 배우고 우리아이에게 건전한 디지털 문화를 만들어 줄 수 있는 환경이 정착되었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스마트쉼센터(https://www.iapc.or.kr/)
출처 :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스마트쉼센터
'우리 아이를 위한 양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365일 언제든지 상담하세요. 학부모 심리검사 무료지원(한국청소년상담복지개발원) (0) | 2022.07.15 |
---|---|
어린이 청소년 문화재청 사이트 활용법 (0) | 2022.06.26 |
우리동네 권역응급의료센터 찾기 (0) | 2022.05.23 |
우리동네 어린이집 유치원 찾기(유치원알리미) (0) | 2022.05.18 |
2022년 GED 영재(선발지역, 분야, 전형단계) (0) | 2022.05.1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