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와 기후변동성 정의(기후 뜻)
유엔에서는 인간활동이 기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유엔 산하 기상학 전문 기관인 세계기상기구(WMO, 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는 과학적 근거를 확보하고 근거 기반의 의사결정을 돕기 위해 기후 연구를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기후를 정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WMO가 말하는 기후의 뜻은 특정 위치 및 오랜 기간에 걸친 평균 기상 조건을 말하며, 기상학적으로는 30년간 특정변수(기온, 강수량, 바람 등)들의 평균 및 변동성을 측정한 것으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큰 틀에서는 기후 시스템이라고 불리기도 합니다. 이처럼 WMO와 같은 세계적 기상 전문기관에서 기후로 인한 피해예방, 기후 변화 분석을 위해 기후변화와 기후변동성을 구분하여 정의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 정의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 United Nations Framework Convention on Climate Change)의 제1조에서는 아래와 같이 기후변화를 정의하고 있습니다.
기후변화는 지구 대기 구성을 변화시키는 인간 활동이 직접 혹은 간접적인 영향과 함께 자연적인 기후변동성이 추가하여 발생하는 기후의 변화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즉, 기후변화는 오랜 기간 지속되는 기후 평균 상태 혹은 유의미한 변동상태를 의미하며, 인간에 의한 외부 요인과 자연계 내부의 자연적 요인으로 구분 지을 수 있습니다.
기후 변동성 정의
기후 변동성은 개별적인 기상 현상을 넘어 기후의 평균 상태와 그 이외의 통계적 수치들의 변동들의 변동으로 정의됩니다. 일반적으로 이상 현상이라고 하는 기후 편차로 측정되며, 장기적인 기후 통계와 단기적인 기후 통계의 편차를 나타내는 데 사용됩니다
즉, 비가 많이 오는 영국에서의 강수 현상의 변동성은 높은 편이며, 이러한 현상은 역사적으로 정상 상태입니다. 반면에 강수 현상의 변동성이 적으면, 영국 입장에서는 비정상적인 상태입니다. 따라서, 열대성 저기압과 같은 단발성의 날씨는 인간이 개입한 기후변화에 기인하지 못합니다.
유엔기후변화협약(UNFCCC)은 대기의 구성을 변화시킬 만큼의 인간 활동으로 인한 "기후 변화"와 자연적 원인으로 인한 "기후 변동성"을 구분 짓습니다.
<출처 : 세계기상기구, WMO(World Meteorological Organ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