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기후위기
대기의 강 발생 원인
KEDT
2023. 2. 8. 01:02
대기의 강(Atmospheric River, AR)은 열대 지방에서 고위도로 습한 공기가 다양한 모양과 크기로 운반하고, 이 대기의 강이 상륙하게 되면 강풍과 함께 비나 눈의 형태로 내립니다. 이 현상은 과거에도 있었으며 때로는 재해성 폭우로 나타났지만, 때로는 물 공급의 일환으로 가뭄을 해소하는 물 순환 시스템 역할을 하였습니다. 하지만 최근 기후변화로 인해 대기의 강의 세기가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발생원인
- 적도 부근의 자연계의 기후시스템인 엘리뇨 남방 진동(ENSO)이 발생원인으로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으며, 열대 지방에서 극지방으로 따뜻한 공기와 습기를 운반하는 거대한 온대 저기압의 일부분으로 보고 되고 있습니다.
- 온대 저기압이 많이 발생되는 지역의 겨울철에 많이 발생됩니다. (남반구 6,7,8월 / 북반구 1,2,12월)
- 높은 습도의 수증기, 강풍과 결합되어 산맥과 같은 특정 지역에 도달할 때 치명적인 강수량을 보여주며, 지역적 특성을 갖는 곳이 산맥을 안고 있는 미국 서부 해안입니다.
- 산악 지역에서 강력한 풍속이 발생하면서 습한 공기가 만나면, 수증기의 양에 따라 치명적인 홍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즉, 대기의 강은 엄청난 수증기를 운반하며, 최악의 경우에는 육지에 상륙하여 큰 홍수를 만들어 낼 수 있습니다.
- 대기의 강이 육지를 지나갈 때에는 강력한 폭우와 강풍이 동반되어 허리케인발생과 유사한 원인으로 발생됩니다.
- 미국 서부 해안에서 주로 발생하며, 물공급 혹은 홍수 위험을 줄 수 있는 영향을 지녔습니다.
- 대기의 강의 길이는 약 2000km 미만이며, 폭은 약 1000km 미만입니다.
- 대기의 강은 온대 북 태평양, 대서양, 남동태평양, 남대서양, 북미, 남미의 서해안에서 발생합니다.
21세기 들어 지구 온난화로 인한 엘리뇨 남방진동의 세기가 강력해지면서, 폭우를 동반한 대기의 강처럼 예상하지 못한 재해성 날씨들이 빈번해지고 강력해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인류는 많은 피해를 입고 있으며, 심지어 삶의 터전을 버리고 이주를 해야 할 상황에 놓일지도 모릅니다. 다만, 과학기술이 발전을 토대로 각 나라들의 탄소중립 목표 이행과 개인들의 탄소 저감 행동 실천을 통해 최악의 시나리오로 도달하지 않기를 바라봅니다.
<출처 : NOA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