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생아 수 와 초등학교 감소 통계
우리나라의 출생아 수는 통계청에서 집계한 1997년부터 지금까지 전국 통계 기준으로 감소 추세에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 아이들이 자라서 다닐 수 있는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수는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며, 그 감소율에 따라 지역적인 편차도 발생할 것입니다. 우리 아이의 미래에 학교 생활을 통계청 자료로 단순 비교하여 확인해보고자 합니다.
연도별 출생아 수
1997년부터 통계청에서는 출생아 수를 집계하고 있습니다. 이때부터 정부는 출생아 수 증감이 중요한 관리항목으로 인지하고 모니터링을 시작한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20년이 훨씬 지난 지금도 출산율에 대한 사회적 문제를 풀지 못하고 아래와 같이 전국 출생아 수가 감소하고 있는 모습이 너무나 안타깝습니다.
1997년부터 2021년까지 출생아 수 감소율은 약 -60% 수준으로 아이들이 감소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최근 초등학교가 감소하고 있다거나 폐교하는 학교가 늘고 있다는 언론 뉴스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가령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이 출생아 수가 적다면 향후 그 지역의 학교 운영이 어려워지거나 폐교라는 최악의 경우의 수도 예상 가능할 것입니다.
아마도 출생아수 감소로 인해 학교 폐교 조치가 이루어지면 아이들 관련 인프라, 상권들이 사라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교육 인프라가 유지되고 있는 지역으로 더더욱 쏠림현상이 발생할 것입니다. 이러한 출생아 수 감소의 단순 통계는 단편적인 예상일 뿐, 앞으로는 단순한 사회적 문제가 아니라 경제, 부동산, 도시 소멸 등 사회 전반적인 문제로 부각되어 체감을 할 수 있는 건 시간문제일 것입니다.
1997년부터 2021년까지 우리나라의 7개 광역시인 서울, 부산, 대구, 인천, 광주, 대전, 울산과 경기도의 출생아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안타깝지만 최근 10년간의 출생아 수가 가파르게 감소하고 있습니다.
아래는 8개 도 지역인 강원, 충청북도, 충청남도, 전라북도, 전라남도, 경상북도, 경상남도, 제주와 추가로 세종시의 출생아 수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8개도 또한 약 10여 년 전부터 가파르게 감소하는 경향이며, 다만 세종시는 2012년부터 증가되고 있는 모습으로 전입에 의한 증가추세로 보입니다.
우리나라는 2020년부터 태어난 출생아 수가 30만 명 밑으로 내려갔으며, 2022년 기준 한해 약 25만 명 정도 아이들이 태어나고 있습니다. 2022년에 태어난 아이들이 만 7세가 되어 2029년에 초등학교를 입학하게 되면, 현재보다 약 40% 정도 감소율을 보이기 때문에 학교급, 학교수가 줄어들 것으로 단순 예상이 가능합니다. <시군구/성/연령(1세) 별 주민등록연앙인구 (년 1993~2022), 통계청>
- 2015년에 초등학교에 입학한 만 7세 아이들 : 481,709명
- 지금으로부터 5년 후, 2027년 만 7세가 되어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 : 291,777명(가상)
- 2024년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부터 가파르게 감소 예상
0세(만) | 1세(만) | 2세(만) | 3세(만) | 4세(만) | 5세(만) 유치원 입학 |
6세(만) 유치원 입학 |
7세(만) 초등학교 입학 |
|
2015 년 | 422,183 | 438,331 | 463,897 | 481,665 | 473,900 | 460,065 | 457,821 | 481,709 |
2016 년 | 409,098 | 439,789 | 439,482 | 464,456 | 482,098 | 474,159 | 460,276 | 457,923 |
2017 년 | 369,711 | 425,705 | 440,967 | 439,957 | 464,792 | 482,297 | 474,368 | 460,372 |
2018 년 | 331,722 | 385,664 | 426,981 | 441,487 | 440,315 | 464,973 | 482,491 | 474,415 |
2019 년 | 306,396 | 346,238 | 386,970 | 427,661 | 441,919 | 440,544 | 465,153 | 482,541 |
2020 년 | 280,097 | 317,767 | 347,171 | 387,522 | 428,081 | 442,190 | 440,736 | 465,264 |
2021 년 | 259,511 | 289,616 | 318,804 | 347,607 | 387,872 | 428,349 | 442,373 | 440,854 |
2022 년 | 249,090 | 269,687 | 291,777 | 319,981 | 348,196 | 388,283 | 428,629 | 442,537 |
2023 년 | 미정 | 249,090 | 269,687 | 291,777 | 319,981 | 348,196 | 388,283 | 428,629 |
2024 년 | 미정 | 미정 | 249,090 | 269,687 | 291,777 | 319,981 | 348,196 | 388,283 |
2025 년 | 미정 | 미정 | 미정 | 249,090 | 269,687 | 291,777 | 319,981 | 348,196 |
2026 년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249,090 | 269,687 | 291,777 | 319,981 |
2027 년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249,090 | 269,687 | 291,777 |
2028 년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249,090 | 269,687 |
2029 년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미정 | 249,090 |
2015년 ~ 2022년까지의 연령별 인구수는 변하지 않는 통계청 자료입니다. 2023년~2029년의 인구수는 2022년의 통계를 그대로 대입하여 2029년에 만 7세 아이들의 미래를 예상해 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아이들이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의 학교 수도 그려볼 수 있으며, 확신할 수 있는 사실은 2041년(2022년 출생아)에 대학교에 입학하는 신입생은 Max. 249,090명입니다. 현재 2022년 우리나라의 대학정원은 52만 명이니, 약 50% 정도 대학교 정원이 줄어들 거라는 예상을 할 수 있습니다.
2022년도 학교 수
KESS 통계자료에서 2022년 학교 수를 찾아보면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의 학교수와 학생수의 통계가 있습니다. 우리 아이가 초등학교, 중학교에 들어갈 무렵에 과거 대비 또래 친구들이 줄어든 만큼 학교수와 학급수도 줄어들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걱정이 앞설 수밖에 없습니다. <2022년 유초중등 학교급별 개황, KESS>
2022년 기준 | 나이 | 학교수 | 학생수 |
유치원 | 6~7세 | 8,562 | 552,812 |
초등학교 | 8~13세 | 6,163 | 2,664,278 |
중학교 | 14~16세 | 3,258 | 1,348,428 |
고등학교(일반) | 17~19세 | 2,373 | 1,262,348 |
- 2017년에 태어나서 2022년에 유치원에 입학한 아이들 : 388,283명
- 2022년에 태어나서 2027년에 유치원에 입학한 아이들 : 249,090명
위 두 조건의 감소율은 약 -35% 정도입니다.
단순 계산을 해보면 2022년 유치원 수는 8,562개에서 2027년이 되면 5,492개로 줄어드는 수치입니다. 불과 몇 년 후 초등학교에 입학하는 아이들도 30만 명이 안 되는 숫자입니다.
이처럼 단순 통계로 앞으로 우리 아이들의 학교 생활을 조금이나마 예상할 수 있습니다. 다만, 점점 또래 친구들이 사라지는 현상을 정부에서는 빠른 시일에 효과적인 정책으로 대안을 찾았으면 하는 바람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