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4

CCS와 BECCS 차이점 무분별한 화석연료 사용으로 인해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가스가 지구 온난화를 가속화시키고 있습니다. 따라서 IPCC는 지구 온난화를 완화하는 방법으로 대기로 배출되는 온실가스를 포집과 저장하는 기술인 CCS(Carbon Capture & Storage) 기술이 필요하다고 말하고 있습니다. 또한 IEA(국제 에너지 기구)에도 탄소 포집과 저장에 대해 BECCS 기술을 소개하고 있습니다. 이 두 가지 기술은 연료종류에 따라 차이점이 있습니다. CCS와 BECCS 뜻 지구 온난화를 완화시키기 위한 기술로 평가받고 있는 이 두 가지 기술의 공통점은 대기 중 탄소 배출을 억제하는 것이며, 근본적인 개념은 탄소중립을 위해 필요한 기술들입니다. 다만 차이점으로는 플랜트 가동을 위해 바이오에너지를 연료를 사용하는지 화석연.. 2023. 5. 3.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 CCS(Carbon Capture, Storage) 2023년 IPCC 6차 종합 보고서에서 CCS(Carbon Capture, Storage) 기술에 대한 중요성을 언급하였습니다. 각국의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서는 탄소 포집 및 저장기술인 CCS 적용이 필요하며, 활용방법은 탄소배출저감 기술을 활용할 수 없는 곳에 이 기술이 필요하다는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즉, 기존의 산업현장에 CCS기술을 접목하여 기후변화 대응 및 탄소중립목표를 실현하기 위한 하나의 탄소감축 기술입니다. CCS(Carbon Capture, Storage)란? 탄소 포집 및 저장 기술로 탄소배출량을 억제하는 방법입니다. CCS는 철강과 시멘트 산업현장에서 배출되는 이산화탄소를 대기 중에 배출하지 않고 포집 및 압축하여 파이프라인을 통해 저장 장소인 심해나 깊은 지하, 암석층에 .. 2023. 5. 2.
탄소제거기술(CDR)정의, 종류 IPCC 6차 종합보고서에 따르면 탄소제거(CDR, Carbon dioxide removal) 기술이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한 필요 기술이라고 얘기하고 있습니다. 탄소제거(CDR, Carbon dioxide removal) 기술은 대기 중에서 온실가스를 제거, 포집하여 토지, 해양, 특정 저장소에 저장을 하거나 상품으로 변환시키는 기술을 말합니다. 즉, 자연에서 볼 수 있는 동토영구층과 같이 수백 년 혹은 수천 년 동안 탄소를 봉인하는 기술을 통칭하며 네거티브 배출 기술(NET, Negative emission technology)이라고도 불립니다. 탄소제거방법과 종류 국제사회에서는 탄소제거(CDR, Carbon dioxide removal) 기술을 6가지 정도로 분류하고 있습니다. 이산화탄소를 제거.. 2023. 4. 29.
해양 에너지 정의, 종류 바다는 상당한 에너지가 잠재하고 있으며, 바다에서 얻을 수 있는 모든 형태를 해양에너지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태양계 내의 지구 시스템으로 발생하는 엄청난 해양의 에너지인 만큼 미래사회의 지속 가능한 재생에너지 불리고 있습니다. 다만, 아직까지는 해양에너지를 이용한 전력생산기술은 초기 수준이나 탄소중립을 위한 친환경에너지를 사용하고자 하는 국제사회의 의지만큼은 충분합니다. 해양 에너지 종류 해양 에너지 중 가장 대표적인 에너지는 태양계 안에서 지구와 달 사이의 인력(당기는 힘)과 척력(미는 힘)의 균형으로 인해 조수 간만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조력 에너지와 파도 에너지가 있습니다. 민물과 바닷물의 염도의 차이에서 얻을 수 있는 에너지가 있으며 심해와 해수표면의 온도차이를 이용할 수 있는 열 에너지를 포.. 2023. 4. 22.
파력발전 원리, 장단점 파력발전(Wave Power Generation)은 해양에너지(Ocean Energy Systems)의 일부분이며, UNFCCC(기후변화협약)의 에너지 공급 부문에 재생가능발전으로 소개되고 있습니다. 해양파 에너지로도 불리며 파도의 상하 운동을 이용하여 발전설비를 통해 전기에너지를 생성하는 원리입니다. 대부분의 파력 시스템은 다양한 발전 시스템이 있지만 기본적인 원리는 자연의 바람에서 물로 전달될 때 에너지가 발생되는데 다양한 에너지 변환시스템을 이용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것입니다. 파력발전의 잠재력 파력발전은 해양에서 에너지를 추출하는 에너지 변환시스템의 복잡성과 개발비용, 전기를 육지로 이송하는 인프라 구축의 어려움 등으로 인해 막대한 에너지 잠재력에 비해 기술적 과제들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다만, .. 2023. 4. 19.
온실효과 영향, 해결방안, 지구온난화와 관계 온실효과는 영어로 Greenhouse effect라고 불리며, 지구 대기의 온실가스가 태양복사 에너지를 일정 부분 가둘 때 발생하는 과정을 의미하며, 그 온실효과로 인해 생명체 거주 지역인 골디락스 존(Goldilocks zone)을 형성할 수 있게 해 줍니다. 이러한 온실효과는 너무나 자연스러운 현상이며 인류에게 없어서는 안 될 균형 잡힌 지구 시스템입니다. 온실효과 원리 한겨울에 특별한 난방 없이 유리온실 안이 따뜻한 기온을 유지하는 작동원리와 같습니다. 우주의 평균 온도는 영하 270.4도씨, 지구의 평균 온도는 14.8도씨(2020년 기준)로 지구가 온화한 기후를 갖는 이유는 대기 중에 온실가스가 태양에너지를 가두기 때문이며, 유리온실과 같은 원리입니다. 겨울철 유리온실의 식물처럼 지구도 식물로 .. 2023. 4. 18.
CF100과 RE100 차이, 비교 인류에 의한 폭발적인 온실가스 증가로 인해 기후변화가 심각해짐에 따라 온실가스 배출 억제를 위해 친환경 에너지를 사용하자는 캠페인이 시작되었습니다. 그중 CF100과 RE100이란 용어가 있으며, 먼저 CF100(Carbon Free 100%)의 정식명칭인 24/7 CFE(Carbon Free Energy)은 탈탄소 에너지 사용을 포괄하며, RE100(Renewable Electricity)은 신재생 에너지 사용을 포괄하고 있습니다. 결국 기업활동에 필요한 에너지를 신재생 에너지를 사용하는지 좀 더 포괄적인 탈탄소 에너지를 사용하는지 여부에 따라 용어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CF100과 RE100 차이, 비교 RE100 만으로는 탄소 중립이 어렵습니다. 그 이유는 신재생에너지는 나라별 지역별로 안정적인 공.. 2023. 4. 14.
EU 탄소국경조정제도(CBAM) 작동원리 탄소국경조정제도(Carbon Border Adjustment Mechanism)는 탄소국경세라고도 불리며, 유럽의 그린딜 정책의 핵심제도입니다. 그 내용은 EU의 기후정책에 적용되지 않는 나라에서 탈탄소 에너지를 사용하지 않고 만든 제품을 EU로 수출하게 되면 EU의 ETS(배출권거래제, Emission Trading System)와 연동되어 환경부담금을 전가시키는 방식입니다. 따라서 ETS를 강화할 경우 가격경쟁력이 약화되어 기업이 위축됨으로써 경쟁에서 밀리게 만드는 무역관세의 개념입니다. 즉, EU의 탈탄소 경제정책입니다. 탄소국경조정제도(탄소국경세) 작동원리 탄소국경조정제도에 적용되는 대상 제품은 전력생산, 수소, 알루미늄, 비료, 전기, 시멘트, 철강이며, EU의 수입업자는 매년 5월 31일에 C.. 2023. 4.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