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원자력 기구(IAEA)에 의하면 SMR은 전기 출력이 300MW 이하의 소형 원자력 발전으로 구분하고 있습니다. 일반적인 원자력 발전의 출력은 1000MW로 SMR과 비교 가능하며, SMR은 모듈형식의 공법을 적용하기 때문에 제작기간이 짧습니다. 또한 소형, 일체형으로 만들기 때문에 발전용수, 냉각수를 위해 해안선 인근에 건설할 필요가 없이 내륙에도 건설 가능합니다. 다만 EU에서 2022년 7월 녹색분류체계에서 원자력을 포함시켰지만 탄소 중립을 위한 발전으로써는 여전히 논란에 중심에 있습니다.
소형 원자로(SMR) 장점
- 소형원자로(SMR)는 핵잠수함이나 핵항공모함에 사용되던 군사기술이며, 민간 상용 발전을 위해 이전된 기술로, 일반적인 대용량 원자력 발전이 어려운 지역에서 민간발전을 위해 개발되고 있습니다.
-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탈탄소 에너지 확보를 위해 소형원자로 발전이 다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주요 기기인 원자로, 증기발생기, 냉각재펌프, 가압기 등이 모듈형태로 개발되기 때문에 공사, 건설기간과 비용이 낮습니다.
- 발전용수 및 냉각수 공급을 위해 해안지역뿐만 아니라 어느 지역에도 건설이 가능합니다.
- 전력 생산뿐만 아니라 지역난방 및 해수담수화 에너지원 등 다목적으로 활용 가능합니다.
- 만약 원자로 사고 발생 시 대형 원자력 발전보다 붕괴열이 적기 때문에 사고 대응이 가능합니다. 즉, 일체형으로 개발되기 때문에 문제 발생 시 냉각수에 통째로 담아 대응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소형 원자로(SMR) 단점
- 기본적인 발전 기술이 원자로이기 때문에 방사능 폐기물 처리 기술이 필요합니다.
- 핵연료를 사용한 발전이기 때문에 방사능 노출에 100% 안전한 기술을 확보해야 합니다.
- 소형 원자로 가동 비용은 일반 대형 원자력 발전소와 유사 수준이기 때문에 비용대비 경제성이 낮습니다.
- 원자로를 건설하는 만큼 건설 부지 확보를 위해 수많은 노력을 기울여야 합니다.
'경제 지식 나눔' 카테고리의 다른 글
리튬이온 배터리와 납산 배터리 특징 비교 (0) | 2023.06.09 |
---|---|
에너지 저장장치(ESS) 구성 (0) | 2023.06.07 |
에너지 저장장치(ESS, Energy Storage System) 종류 (0) | 2023.05.31 |
CCUS기술, 탄소포집, 활용 및 저장기술(Carbon capture, usage and storage) (0) | 2023.05.14 |
CCS와 BECCS 차이점 (0) | 2023.05.03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