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가 인위적으로 배출한 막대한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 온난화가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IPCC가 권고한 지구 평균기온 1.5도씨를 넘지 않기 위해 각국은 저탄소 정책을 설정하고 목표를 이행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 또한 2021년 2050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최종 두 가지 시나리오를 관계부처 합동으로 발표함으로써 국제사회의 일환으로 역할을 다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시나리오의 목표는 2050년이 되면 순배출량 제로입니다.
2050 탄소 중립 최종 2가지 시나리오
경제 11개 부문의 이산화탄소 감축 방법 제시
2050 탄소 중립 최종 2가지 시나리오
2018년 배출량 대비 2050년이 되면 탄소 배출을 제로로 하겠다는 목표 시나리오이며, 각 산업별로 구분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설정한 시나리오입니다.
- A안 :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산업의 이산화탄소를 최대한 감축하는 시나리오
- B안 : 화석연료를 사용을 최소화하며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CCUS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시나리오
<백만톤CO2eq> | 2018년 | A안 | B안 | 비고 |
배출량 목표 | 686.3 | 제로, 0 | 제로, 0 | |
에너지 전환 | 269.6 | 0 | 20.7 | A안)화력발전x B안)일부 LNG발전 |
산업 | 260.5 | 51.1 | 51.1 | |
건물 | 52.1 | 6.2 | 6.2 | |
수송 | 98.1 | 2.8 | 9.2 | A안)그린 수소 공급 B안) 부생수소 공급 |
농축수산 | 24.7 | 15.4 | 15.4 | |
폐기물 | 17.1 | 4.4 | 4.4 | |
수소 | 0 | 9 | ||
탈루 | 5.6 | 0.5 | 1.3 | |
흡수원 | -41.3 | -25.3 | -25.3 | |
탄소포집 | - | -55.1 | -84.6 | |
직접공기포집 | -7.4 |
최종 2가지 시나리오의 공통점은 이산화탄소 배출량을 감축시키는 동시에 흡수원과 이산화탄소 포집 기술을 적극 지원하여 산업에 적용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제로를 실현한다는 것입니다. 이 과정에서 탄소 포집 기술 개발 및 산림, 임업 관련 산업들이 각광을 받을 것으로 예상됩니다.
11개 부분의 이산화탄소 감축 방법 제시
에너지 전환 부분
- 태양전지, 부유식 시스템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광), 해양에너지, 수소 기반의 에너지 발전으로 전환
- 범 국가적 전력 수요 감축 유도
산업 부분
- 철강 부분은 수소환원제철로 적용 및 철 스크랩 전기로 조강을 확대로 배출량 감축
- 시멘트 부분은 공정의 연료를 유연탄에서 폐합성수지와 바이오매스 등으로 전환으로 배출량 감축
- 석유화학 및 정유부문은 연료를 전기가열로 및 바이오매스 보일러 등을 도입으로 배출량 감축
-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 부분은 에너지 효율화 및 불소계 온실가스 저감등으로 배출량 감축
건축물 부분
- 제로에너지건축물 1등급 신축 및 그린 리모델링 등 건물에서 사용하는 에너지를 30% 이상 개선하여 배출량 감축
- 고효율 기기 보급을 통해 에너지 소비 효율 강화 및 표시제도 확대 등을 통해 약 30% 에너지 절감을 통해 배출량 감축
- 스마트 에너지 관리 시스템 도입으로 2~5% 에너지 절감을 통해 배출량 감축
수송 부분
- 대중교통 및 개인 모빌리티 확대, 공유 차량 확대 등으로 승용차 통행량 저감을 통해 배출량 감축
- 친환경 철도(전기, 수소 동력) 및 친환경 해운(바이오 연료 확대)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내연기관을 사용하는 수송 부분은 대체연료를 활용 및 확대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농축수산 부분
- 어선, 농기계의 연료 전환을 통해 전기, 수소, 바이오 매스 등 친환경 에너지로 전환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영농방법을 친환경 농법으로 개선(화학비료 저감 등)하여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 저탄소 가축관리시스템 구축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폐기물 부분
- 1회 용품 사용 제한 및 생활쓰레기 저감, 재생원료 사용 의무화를 통해 소각과 매립량을 저감 하여 배출량 감축
- 바이오 가스 활용, 바이오 소재 개발을 통해 생활 플라스틱 및 매립지 운영 강화를 통해 메탄의 배출량 감축
수소 부분
- 수전해 수소(그린수소) 공급을 확대하고 수소 산업의 생태계, 기술 표준 등을 육성하여 수소의 생산, 저장, 운송, 이동 등의 폭넓은 산업화 추진을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탈루 부분
- 탈루는 화석연료의 채굴, 정제, 운송 등에서 발생되는 온실가스로 친환경 산업 생태계로 넘어감으로써 자연스럽게 배출량이 감축
흡수원 부분
- 산림 순환 경영을 강화하고 생태복원, 도시숲 가꾸기 등을 통해 산림, 임업 흡수원을 확보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해양 및 기타 부분
- 바다 숲 조성, 수변구역, 초지 면적 확대를 통해 탄소 흡수원을 확충함으로써 온실가스 배출량을 흡수하여 배출량 감축
이산화탄소 포집 및 활용
- 이산화 탄소 포집 저장 기술인 CCU 확대와 활용을 할 수 있는 CCU 기술, CCUS 기술 확보를 통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직접 공기 포집(DAC)
- 대기 중 이산화탄소 포집을 통해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축
정부는 2050 탄소 중립 시나리오 정책을 발표함으로써, 우리나라는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산업 전환기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따라서 탄소 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목표 시나리오를 이행함으로써 경제발전과 더불어 성공적인 친환경 산업화를 이루길 기대해 봅니다.
<2050 탄소중립 시나리오안, 2021. 10.18, 관계부처 합동>
'기후변화, 기후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F100과 RE100 차이, 비교 (0) | 2023.04.14 |
---|---|
유럽의 기후정책, Fit for 55란(핏포55)? (0) | 2023.04.10 |
해양 산성화 원인, 해결방안 (0) | 2023.02.19 |
대기의 강 발생 원인 (0) | 2023.02.08 |
지구 온난화가 빠르게 진행되는 원인(유발 원인) (0) | 2023.01.2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