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니뇨와 라니냐 현상은 열대 태평양 지역의 해양 대기 시스템 진동입니다. 엘리뇨는 적도 기준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균 대비 0.5도씨 이상으로 따뜻한 현상이며 라니냐 또한 비정상적으로 차가운 현상입니다. 이 현상은 열대 태평양 이외에 멀리 떨어진 곳까지 영향을 줌으로써, 각 지역과 계절에 따라 그 영향은 다르게 나타납니다. 따라서, 인류가 감당하지 못할 재해성 날씨들이 빈번하게 일어납니다.
엘니뇨와 라니냐 원인
두 현상의 원인은 열대 태평양의 해수면 온도 상승과 하락 사이에서 나타나는 기후이며, 지구의 자연스러운 기후 패턴입니다. 해양 표층과 열대 태평양 상층 대기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하며 엘니뇨-난방 진동(ENSO)라고 부르고 있는 기후 진동의 따뜻한 단계가 엘니뇨, 중간 단계는 중립상태, 차가운 단계는 라니냐를 의미합니다. 아래 그림은 진동에 따른 3단계 ENSO상태를 잘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 진동은 2~7년 주기로 나타나며, 9~12개월 정도 지속됩니다. 각 단계별로 수온약층(Thermocline, 20도씨의 수온으로 깊이에 따라 수온이 급격하게 변하는 층)의 변화와 해수온도의 흐름, 대류 순환(Convective circulation)을 원인을 찾을 수 있습니다. 열대 태평양의 표면온도 상태, 동태평양과 서태평양의 기압, 중앙 태평양의 호우 상태, 수온약층의 변화 등이 엘리뇨와 라니냐의 기후 환경을 만드는 주된 원인으로 보고 있습니다.
이상고온 현상부터 이상저온 현상까지 3단계의 순환적 진동현상을 ENSO(엘니뇨-난방 진동, El Nino-Southern Oscillation)라고 하며, 매월 미국의 NOAA(National Oceanic and Atmospheric Administration, 미국 해양대기청)에서 ENSO(엘니뇨-난방 진동)의 상태를 점검하여, 예보를 발표함으로써 정의됩니다.
NOAA의 엘니뇨와 라니냐 예보 기준
- 열대 태평양 Nino 3.4 지역의 월별 해수면 평균온도가 지난달보다 +0.5도씨 높으면 엘니뇨 검토되며, -0.5도씨가 낮으면 라니냐 검토됩니다.
- 이러한 두 현상의 해수면 평균 이상 현상이 5회 연속, 3개월 동안 지속되었거나 지속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 평소보다 약한 동풍의 무역풍이면 엘니뇨를 검토하며, 강한 동풍의 무역풍이 불면 라니냐를 검토합니다.
- 인도네시아 기준, 강우량 감소 및 기압이 증가하면 엘니뇨를 검토하며 강우량이 증가하고 기압이 감소하면 라니냐를 검토합니다.
- 동태평양(남미) 기준 강우량이 증가 및 기압이 감소하면 엘니뇨를 검토하며, 강우량이 감소하고 기압이 증가하면 라니냐를 검토합니다.
위 조건들이 최종적으로 확인되면 ENSO 경보 시스템이 활성화되어 "향후 6개월 이내 엘니뇨 혹은 라니냐가 발생할 확률이 높다"라고 발표됩니다.
엘니뇨와 라니냐 차이점 비교
구분 | 엘니뇨 | 라니냐 |
원인 | 해양 표층과 열대 태평양 대기 사이의 상호 작용으로 인해 발생 | |
해수면 온도 측정 지역 | 열대 태평양 Nino 3.4지역 | |
엘니뇨, 라니냐 측정 방법 | ENSO 경보 시스템(NOAA) | |
엘니뇨-난방진동(ENSO) 흐름 | ENSO의 온난기 | ENSO의 한랭기 |
예보 방법 | NOAA의 ENSO 단계 발표(1회/월) | |
예보 기준 | 해수면 평균온도가 지난달보다 +0.5도씨 높아짐 무역풍의 세기 약함 열대 태평양의 구름, 기후, 날씨 검토 |
해수면 평균온도가 지난달보다 -0.5도씨 낮아짐 무역풍의 세기 강함 열대 태평양의 구름, 기후, 날씨 검토 |
해수면 온도(SST) | 평년 대비 이상고온 | 평년 대비 이상저온 |
해수면 높이 차이 (평상시에는 서태평양 해수면이 높음) |
동태평양 해수면이 높아짐으로써, 높이 차이는 줄어듬 | 서태평양 해수면이 높아짐으로써, 해수면 높이 차이는 커짐 |
서태평양(동남아시아) 지역 기압 | 낮음 | 높음 |
동태평양(남미) 지역 기압 | 높음 | 낮음 |
무역풍(저위도 바람) | 약함 | 강함 |
수온약층(찬물과 따뜻한 물, 20도씨 해수 경계층) | 기울기가 낮고 완만함 | 남미 심해 연안의 용승으로 인해 기울기가 가파름 |
영향(겨울철 기준) | 칠레, 에콰도르 : 폭우 인도네시아, 호주 : 가뭄, 건조 |
칠레, 에콰도르 : 가뭄, 건조 인도네시아, 호주 : 폭우 습함 |
'기후변화, 기후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후변화와 기후변동성 정의(기후 뜻) (0) | 2022.12.29 |
---|---|
세계 각국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 (1) | 2022.12.20 |
엘니뇨 원리와 피해, 영향, 해결방안 (1) | 2022.12.13 |
라니냐 원인과 영향, 해결방안 (1) | 2022.12.10 |
이상기후 사례(우리나라와 세계각국 포함) (0) | 2022.07.3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