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2월 5일 교육부에서 늘봄학교 추진방안이란 보도자료를 보도하였으며, 2024년 1학기에 전국 2,000개교 이상, 2학기에 전국 모든 초등학교(초1)에 늘봄학교 도입한다는 내용으로 배포되었습니다.
2024년 새로워진 늘봄학교 목표
늘봄 학교란 정규수업 이외에 학교나 지역사회에서 연계를 통해 다양한 교육 자원을 제공하는 종합 교육 프로그램입니다. 따라서 과거에 있었던 방과 후 나 돌봄은 없어지고 2024년부터 늘봄학교 체계로 단일화하여 프로그램이 제공됩니다.
2024년, 새롭게 시작하는 늘봄학교 5가지 큰 틀
- 희망하는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
- 초 1~2학년에게는 맞춤형 프로그램 매일 2시간 무료
- 초 3~6학년 대상 양질의 프로그램 운영
- 시도 교육청, 학교별 특성에 맞는 다양한 모델 확산
- 교사의 늘봄학교 행정부담 해소
늘봄학교 추진 계획
기존에 방과후 학교나 돌봄 서비스를 일원하하여 만든 통합 교육 프로그램이 늘봄학교 개념이며, 희망하는 초등학생 누구나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 예정입니다.
2024년 1학기에 2000개교 이상에서 우선 운영하고 2학기부터는 모든 초등학교에서 운영예정입니다.
- 2024년 : 초등 1학년 100%(1학기 : 2000여 학교 이상, 2학기 : 전체 초등학교)
- 2025년 : 초등 1~2학년 100%
- 2026년 : 모든 초등학생 100%
- 단, 2024~2025년 혜택을 못 받는 학년은 기존 방과 후 및 돌봄 제공
- 초 1학년에게 맞춤형 프로그램을 연중 매일 2시간 무료 제공
- 교사의 늘봄학교 행정업무 부담 해소를 위한 늘봄지원실 설치 추진
늘봄학교 선정된 초등학교( 2024년 2월 11일 기준)
현재 전국 시도교육청에서 늘봄학교 선정중에 있으며, 제주 교육청만 보도자료를 통해 공지하였습니다.
2024년 늘봄학교 선정은 시도교육청 스케줄에 따라 학교 발표가 다소 차이가 있을것으로 예상하고 있으며, 다만, 빠르면 2월, 늦어도 3월에는 전국 2000여개 학교가 선정완료 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교육부에서도 최대한 빠르게 확정될 수 있도록 지원하고 있다고 하니 기다려 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새로워지는 늘봄학교 체계
지금까지 (기존 방과후, 돌봄) |
앞으로 (늘봄학교) |
|||
체제 | 초등 방과후 학교 | 늘봄학교 | ||
초등돌봄교실 | ||||
서비스 | 방과후 프로그램 | 늘봄과정 | ||
돌봄 서비스 | ||||
공간 | 방과후 프로그램 | 늘봄 프로그램 교실 | ||
돌봄 서비스 | 늘봄 학교 | |||
인력 | (신설) | 늘봄지원실장(공무원) | ||
(신설) | 늘봄실무직원(공무원, 공무직, 단기 계약직, 퇴직교원 등) | |||
돌봄 전담사 | 늘봄 전담사(공무직) 돌봄 전담사 노조와 협의 추진 |
|||
방과후 강사 | 늘봄 프로그램 강사(계약직) | |||
프로그램 | 초1 에듀케어 | (삭제) | ||
(신설) | 저학년 맞춤형 프로그램 ('24년) 초1 -> ('25년~) 초 1~2 |
|||
조직 | 학교 | (신설) | 학교 | 늘봄지원실 |
교육(지원청) | 방과후 늘봄센터 | 교육(지원)청 | 늘봄지원센터 | |
교육부 | 방과후 돌봄 정책과 | 교육부 | 늘봄학교정책과 |
기존 방과 후, 돌봄 vs 늘봄학교 달라지는 점
과거(방과후, 돌봄) | 늘봄학교 | |
이용대상 | 방과후 참여율 50.3% 돌봄 참여율 11.5% |
희망하는 초등학생 100% 2024년 : 초1 2025년 : 초1~2 2026년 : 초1~6 |
이용시간 | 오후 1~5시 (돌봄은 수요에 따라 오후 7시까지) |
정규수업 전 아침 정규수업 후 희망시간까지 (최장 오후 8시) |
비용 | 프로그램 비용(학생, 학부모 부담) 단, 저소득층 등은 무료 수강권 제공 |
프로그램 비용 무료 연중 매일 2시간 이내(2개 프로그램) |
프로그램 | 학교 인근의 고착화된 공급처 위주 | 전문기관, 대학, 기업 등 우수공급처 확대 온라인 프로그램 공급 플랫폼 늘봄허브 구축 운영('25년~) |
운영장소 | 돌봄 : 학교 내 돌봄 교실 방과후 : 일반학급 등 |
학교 안 다양한 공간 (돌봄 교실, 특별실, 일반교실 등) 학교 밖 지역 교육공간 (거점형 늘봄센터, 지역 돌봄, 도서관, 공공기관, 대학 등) |
운영방식 | 교사의 행정업무 부담 | 교사의 늘봄학교 행정부담 해소 학교에 늘봄학교 전담조직인 늘봄 지원실 설치, 운영 교육(지원)청에 늘봄지원 센터 구축 |
초1 맞춤형 늘봄학교 시간표 (예시)
'우리 아이를 위한 양육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동네 늘봄학교 선정(인천(30), 대전(20), 경기(80), 전남(43), 경북(41)) (0) | 2023.02.27 |
---|---|
세계 OECD국가 출산율 비교(1980년~2021년) (0) | 2023.02.24 |
서울, 인천, 경기 0~9세의 인구 감소 통계 현황 (0) | 2023.02.15 |
출생아 수 와 초등학교 감소 통계 (0) | 2023.02.14 |
Chat GPT의 돌풍, 가입방법 (0) | 2023.01.31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