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수면 높이, 온도, 해빙 면적, 표층염분 변화(2021년~2100년)
IPCC에서는 탄소가 많이 배출되는 상황과 탄소가 적게 배출되는 상황에 따라 기후가 변하는 SSP(Shared Socioeconomic Pathways) 시나리오를 통해 해양 관련 해수면 높이, 해수면 온도, 북극과 남극의 해빙 면적 및 표층 염분이 어떻게 변하는지 예측하고 있습니다. 어떠한 기후정책 없이 탄소를 많이 배출하는 최악의 시나리오에서는 지구 평균 해수면 온도가 2050년이 되면 1.7°C 상승, 해수면 높이는 40cm가 상승하며, 북극이 녹는 면적은 총면적에 41.1%가 녹는다고 예상하고 있습니다. 해수면 높이, 온도, 해빙 면적, 표층염분 변화 21세기 중, 후반의 탄소 배출량에 따라 경우의 수를 두어 기후가 변하는 시나리오를 해수면 높이, 해수면 온도, 북극과 남극의 해빙 면적, 표층 염..
2023. 1. 8.
인구구조 변화, 저출산 고령화 정부 대응방안
우리나라는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위기를 겪고 있습니다. 그 과정에는 저출산과 고령화 문제에서 오는 생산가능인구 감소, 성장잠재력 둔화, 산업구조, 노후부양 복지제도 변화, 학령인구 감소, 소멸위험지역 발생, 병역자원 감소 등 경제, 사회 전반에 걸쳐 큰 영향이 있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인구구조 변화에 따른 사회적 충격을 흡수하기 위해 현실성 있는 정부의 대응책이 필요하며, 이에 따라 기획재정부는 보도자료를 통해 대응방안('22.12.28)을 발표하였습니다. 한국의 인구구조 문제점 및 현주소 우리나라 합계출산율은 2021년 통계 기준 0.81명으로 하락하였으며, 이미 전 세계 198개국 중 최하위입니다. 2024년이 되면 0.7명을 전망하며 하락하는 경향이 세계 최고 수준으로 가속화되고 있습니다. ..
2023. 1.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