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경제 지식 나눔

플라스틱의 진화, 바이오 플라스틱 정의와 구분

by KEDT 2023. 1. 15.

European bioplastics에 따르면 바이오 플라스틱이란, 바이오 기반 원료 혹은 생분해성의 원료 또는 이 두 가지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는 경우로 정의하고 있습니다. 바이오 기반 원료는 바이오매스(식물)에서 파생되며, 사탕수수수, 셀룰로오스, 옥수수 등과 같습니다. 생분해성 원료는 자연계의 미생물이 천연물질(물, 이산화탄소, 온도 등)로 화학적 과정으로 전환시키는 경우입니다. 

 

 

 

 

 

 

 

바이오 플라스틱 구분

바이오 플라스틱을 구분하는 기준은 원료, 생산방법, 바이오메스 함량, 분해 시간에 따라 크게 2가지 종류로 나뉘며, 생분해 플라스틱과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으로 구분됩니다. 

 

생분해 플라스틱

  • 미생물에 의해 빠른 분해 메커니즘을 갖는 플라스틱이며, 바이오매스 함량은 50~70% 이상입니다. 
  • 사용원료는 천연물질, 미생물계, 화석연료기반 화합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분해기간은 90% 수준의 분해가 6개월 이내로 이루어지며, 미생물에 의해 생분해 메커니즘을 가지고 있습니다. 
  • 주요 분해 메커니즘은 미생물이 만들어내는 효소로 인해 플라스틱 구조가 붕괴되어 저분자화 된 이후 다시 미생물이 저분자를 흡수하는 대사 작용을 통해 이산화탄소와 물로 분해가 됩니다.
  • 종류 : PLA, PHA, PBS, PES, PBAT, TPS, AP, CA
  • 재활용이 불가능하며, 생산 제조단가가 높고 분해기간을 조절할 수 없습니다.

 

PLA, 생분해 성 플라스틱 분해조건, 활용 분야

 

PLA, 생분해 성 플라스틱 분해조건, 활용 분야

생분해 성 플라스틱은 일정한 조건에서 미생물에 의해 수개월내에 물, 이산화탄소 등으로 빠르게 분해되도록 만든 플라스틱입니다. 천연물 합성계, 화학 합성계, 미생물 합성계를 모두 포함하

k-editor.tistory.com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 식물을 원료로 만드는 플라스틱이며, 바이오 매스 함량은 20~25% 이상입니다. 
  • 사용원료는 식물, 천연물질과 고분자 결합형과, 중합형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분해기간은 60% 수준의 분해가 6개월 이내로 이루어지며, 생분해 속도가 느립니다. 일부 바이오베이스 플라스틱 재료에 따라 분해기간 조절이 가능할 수도 있습니다.
  • 종류 : Bio-PET, Bio-PE, Bio-PP, Bio-PA
  • 재활용이 가능합니다. 생분해 플라스틱보다 생산성이 높고 단가가 높지 않으며, 이산화탄소 저감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