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CP와 SSP는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패널, Intergovernmental Panel on Climate Change)의 총회에서 등장한 시나리오로 기후변화 시나리오를 정량적 개념으로 만들어낸 단어들입니다.
기후변화 시나리오
RCP 시나리오란 온실가스 농도에 따라 기후 변화 시나리오를 산출하여 앞으로 벌어질 상황들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Repr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s로 직역을 하자면 대표 농도경로이며, IPCC 5차 보고서에 등장한 세계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경로(Pathways)로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러한 시나리오로 사회, 경제 등의 분야별로 탄소중립 정책을 설정하는데 백데이터가 되고 있죠. RCP는 대기에 영향을 미치는 이산화탄소 농도에 따라 4가지이며, 적게 배출되는 경우부터 이산화탄소 배출 저감 없이 현재 수준으로 배출되는 경우의 수로 구분되고 있죠. 인상적인 경우의 수는 현재 수준으로 배출되는 경우를 가장 높게 보고 있는 것이 특징입니다.
SSP시나리오는 RCP기반 + 사회, 경제 전반에 영향을 미치는 4개의 시나리오로 SSP 1~2.6, SSP 2~4.5, SSP 3~7.0, SSP5~8.5로 나타내는 것이 특징입니다.
RCP와 SSP 시나리오 비교
RCP 시나리오 | SSP 시나리오 | |
정의 |
Representative Concentration Pathway | Shared Socioeconomic Pathway |
대표농도경로 | 공통사회경제경로 | |
출처 | IPCC 5차 평가보고서 | IPCC 6차 평가 보고서 |
시나리오 정의 | 지구의 복사강제력을 기준으로 한 온실가스 시나리오(2100년 기준) | RCP 시나리오에 미래 인구, 토지 등 사회, 경제까지 고려한 시나리오 |
저탄소 | RCP 2.6(이산화탄소 농도 420ppm) | SSP1~2.6 |
당장 온실가스 감축 수행 | 화석연료 사용 제한 및 친환경적인 경제성장을 예상 | |
고탄소 | RCP8.5(이산화탄소 농도 940ppm) | SSP5~8.5 |
현재처럼 온실가스 배출 | 지속적인 화석연료 사용으로 사회전반 개발 예상 |
두 시나리오의 공통점은 결국 인간에 의한 폭발적인 온실가스 배출로 인해 지구의 안정된 기후를 변화시켰으며, 과학적근거를 기반으로 예상할 수 있는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는 것이 공통점입니다. 다만 RCP의 경우 순수하게 온실가스의 영향에 대한 시나리오이며, SSP는 RCP시나리오 배경으로 사회, 경제 전반을 고려한 시나리오로 좀 더 우리 생활에 밀접한 예상 시나리오를 제시하고 있습니다.
IPCC의 기후변화 SSP 시나리오(온도, 해빙, 해수면 상승)
IPCC의 기후변화 SSP 시나리오(온도, 해빙, 해수면 상승)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 제6차 평가주기(AR6) 제1실무그룹 보고서의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을 2021년 8월 7일에 발간하였습니다. 수백 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IPCC의 6차 보고
k-editor.tistory.com
<출처 기상청 보도자료, 2021. 1. 18>
'기후변화, 기후위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EU의 그린텍소노미(Green Taxonomy) 이야기(기후변화 대응) (0) | 2022.07.08 |
---|---|
오존층이 왜 중요한가?(파괴원인, 피해, 해결방안) (0) | 2022.06.19 |
해수면 상승 이해하기(원인, 피해, 해결방안) (0) | 2022.06.12 |
기후변화란 무엇인가?(원인, 피해사례, 해결방안) (0) | 2022.06.06 |
탄소배출권 이해하기(대상물질, 각국현황, 탄소거래소, 탄소거래제도) (0) | 2022.06.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