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변화, 기후위기

이상기후 사례(우리나라와 세계각국 포함)

KEDT 2022. 7. 30. 23:11

지구의 기후변화로 인한 이상기후에 대해 우리나라와 각 나라별 사례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현재 모든 지역에서 과거와 다른 패턴의 재해성 날씨로 변화하고 있는 점을 느끼고 있습니다. 산업화 이후 약 200년 동안 인간이 만들어낸 온실가스로 인해 지구 평균기온이 올라감으로써, 기후변화가 인위적으로 매우 빠르게 진행되고 있습니다. 그로 인해 이상기후란 명칭으로 각 나라별, 지역별로 크고 작은 문제들이 생기면서 날씨에 대한 사회적 안정망이 필요해지고 있습니다.

2021년 전 세계적으로 어떠한 이상기후들이 발생하고 있는지 이상기후 보고서(2021년)를 토대로 파악하고자 합니다.

 

 

 

 

 

 

 

 

2021년 우리나라 이상기후 사례

2021년 우리나라의 사례를 보면 이상고온, 이상기온, 호우, 폭염, 열대야, 태풍 등 관측 이래 최고치를 경신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1월 이상고온
(최고기온 경신)
북강릉 : 13.7°C
북창원 : 18.1°C
보성군 : 17.6°C
철원 : 13.1°C
파수 : 13.4°C
이상저온
(최저기온 경신)
완도 : -10.2°C
군산 : -14.7°C
창원 : -14.0°C
전주 : -16.5°C
통영 : -10.9°C
2월 이상고온
(최고기온 경신)
통영 : 19.1°C
춘천 : 19.9°C
대구 : 24.4°C
전주 : 22.9°C
부여 : 20.6°C
창원 : 21.6°C
광주 : 22.6°C
대전 : 22.6°C
   
3월 이상고온
(최고기온 경신)
광주 : 25.0도씨
수원 : 22.9도씨
대전 : 24.4도씨
서울 : 22.9도씨
청주 : 23.8도씨
호우
(일 강수량 경신)

속초 : 73.4mm
수원 : 70.7mm
대전 : 50.8mm
서울 : 67.5mm
청주 : 53.3mm
4월 이상고온
(최고기온 경신)
양산 : 28.8°C
청주 : 29.6°C
통영 : 25.7°C
북창원 : 27.8°C
대전 : 29.9°C
이상저온
(최저기온 경신)
김해 : 9.1°C
청송 : 3.4°C
5월 호우
(1시간/일 강수량 경신)
창원 : 23.0mm
전주 : 31.4mm
군산 : 19.4mm
정읍 : 24.0mm
대전 : 21.7mm
울산 : 27.8mm
이상저온
(평균기온 경신)
창원 : 11.4°C
순천 : 9.8°C
대전 : 10.5°C
천안 : 10.1°C
김해 : 12.2°C
고창 : 10.4°C
7월 폭염, 열대야
(최고기온 경신)
고산 : 34.2°C
인제 : 36.6°C
춘천 : 36.6°C
파주 : 35.1°C
집중호우
(1시간/일 강수량 경신)
강진 : 41.9mm
제주 : 99.2mm
완도 : 51.5mm
8월 호우
(일 강수량 경신)
보성 : 198.9mm
강진 : 126.9mm
경주 : 89.3mm
북창원 : 146.9mm
통영 : 183.5mm
   
10월 이상고온/큰 온도차
(최고기온 경신)
여수 : 28.9°C
춘천 : 28.5°C
강릉 : 32.3°C
대전 : 31.2°C
전주 : 31.5°C
대구 : 31.8°C
창원 : 30.0°C
   
8~9월 태풍 3개가 영향을 줌 루핏(8/8 ~9)
오마이스(8/23~25)
찬투(9/13/17)
   

 

 

 

 

 

 

 

 

2021년 세계 이상기후 사례

아래는 2021년 대륙별 발생한 이상기후 사례이며, 각 나라별로 관측 이래 혹은 몇십 년 만에 최고 기록으로 보고 되었습니다. 유럽과 아프리카, 아시아, 오세아니아, 아메리카 순으로 이상고온, 이상저온, 가뭄, 폭풍, 태풍, 호우, 지진, 폭설 등에 대한 이상기후를 확인해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럽과 아프리카

  • 핀란드(이상고온) : 헬싱키 6월 기준 최고기온과 최저기온 경신
  • 노르웨이(이상고온) : 바낙 지역 유럽 북위 70도 이상에서 관측된 최고기온 경신
  • 에스토니아(이상고온) : 116년 만에 월 최고기온 경신(34.3°C)
  • 영국(이상고온) : 런던 세이트 제임스 공원 지역 1986년 이후 3월 기준 최고기온 경신
  • 프랑스(이상고온) : 오브 주 트루아 지역 17년 만에 최고기온 경신
  • 이탈리아(호우, 폭풍, 이상고온) : 중부, 남부지역 폭우 및 열대성 폭풍(120km/h) 발생, 연평균 강수량과 비슷한 강수량이 하루에 내림
  • 독일(폭설, 호우) : 폭설로 인한 열차, 교통마비, 7월 이틀간 내린 호우로 천여 명 실종 피해 발생
  • 네덜란드(폭설) : 스키폴 공항 폭설로 인한 결항
  • 스페인(이상기온, 이상저온, 폭설) : 코르도바 지역 47.4°C로 최고기온 경신
  • 터키(호우, 이상고온) : 폭우로 인한 대규모 홍수, 지즈레 지역 49.1°C로 최고기온 경신
  • 러시아(이상고온, 폭설) : 모스크바 지역 60년 만에 최고기온 경신(30.5°C)
  • 튀니지(이상고온) : 튀니스 지역 39년 만에 최고 기온 경신(48.0°C)
  • 이집트(호우) : 남부지역 폭우와 우박으로 인해 피해 발생
  • 모로코(호우) : 폭우로 인해 인명피해 발생
  • 소말리아(호우) : 홍수로 인해 25명 사망
  • 나이지리아(폭우) : 중부지역 산사태로 인명피해 발생

아시아

  • 일본(호우, 이상고온, 지진, 폭설) : 시즈오카현 지역 산사태로 인명피해 발생, 후지산 정상 최고기온 경신(9.2°C), 아오모리현, 니가타현 등 몇십 년 만에 적설량 기록 경신, 후쿠시마현 지역 7.3 지진으로 인명피해 발생
  • 중국(호우, 폭설, 지진, 이상저온) : 쓰촨 성, 허난성 등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내몽골 지역 70년 만에 최대 폭설, 베이징 지역 몇십 년 만에 일 최저기온 경신(-19.6°C), 남서부 지역 6.4, 7.4 지진으로 수만 명의 이재민 발생
  • 필리핀(호우, 폭풍) : 중부, 동부 지역 홍수 및 산사태로 인명피해 발생, Conson, Kompasu, Rai 등 열대성 태풍으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 인도네시아(호우, 지진) : 자바섬 지역 폭우로 인한 산사태로 인명피해 발생, 6.2, 6.0 지진으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 인도(호우, 빙하 붕괴) : 뭄바이, 뉴델리, 북부, 남부 지역 집중호우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북부 히말라야 지역 빙하 붕괴로 인한 홍수로 다리 붕괴 및 인명피해 발생
  • 방글라데시, 파키스탄, 이라크, 스리랑카 등 호우로 인한 인명피해 및 주택 파손

IPCC의 기후변화 SSP 시나리오(온도, 해빙, 해수면 상승)

 

IPCC의 기후변화 SSP 시나리오(온도, 해빙, 해수면 상승)

IPCC(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에서 제6차 평가주기(AR6) 제1실무그룹 보고서의 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본을 2021년 8월 7일에 발간하였습니다. 수백 명의 과학자들이 참여한 IPCC의 6차 보고

k-editor.tistory.com

오세아니아

  • 호주(호우, 이상저온) : 뉴사우스 웨일스 지역 60년 만에 최악의 홍수 발생으로 대규모 이재민 발생, 시드니 지역 37년 만에 6;월 기준으로 최저기온 경신(10.3°C)
  • 뉴질랜드(호우) : 캔터베리, 오클랜드 서부 지역 대규모 이재민 발생(5월, 8월)

 

아메리카

  • 캐나다(호우, 이상기온) : 브리티시컬럼비아 지역 한 달의 강수량이 이틀 만에 내림으로써 대규모 이재민 발생, 브리티시컬럼비아 지역 6월 기준 최고기온 경신(49.6°C)
  • 미국(폭설, 이상저온, 이상고온, 호우, 우박, 폭풍) : 캘리포니아주 지역 폭설, 폭우, 가뭄으로 대규모 정전 및 인명피해 발생, 텍사스, 오클라호마 지역 우박으로 인한 3조 9천억 원 피해 발생 등 재해성 날씨로 이재민, 산업피해 등 가늠할 수 없는 사회적 문제 발생
  • 멕시코(폭풍, 호우) : 동부, 서부 지역 8월 허리케인으로 인한 주택 파괴 및 인명피해 발생
  • 아이티(지진) : 8월 7.2 규모 지진으로 대규모 인명피해 발생
  • 볼리비아, 베네수엘라, 콜롬비아, 엘살바도르(호우) : 폭우와 홍수로 인한 인명피해 발생
  • 브라질(이상저온) : 남부지역 7월 기준 30년 만에 최저기온 경신(-7.8°C), 50개 이상 도시에서 눈 관측
  • 남미(가뭄) : 파라과이 강 수위가 117년 만에 최저 수준
  • 칠레(폭설) : 아타카마 사막지역에 15cm 적설량 관측

 

이처럼 전 지구적으로 이상기후가 발생됨에 따라 인류의 삶의 터전이 조금씩 바뀌고 있습니다. 이상기후의 주범인 온실가스를 줄이지 않는 한 위에 언급된 이상기후는 지속 혹은 가속화될 것으로, 전 세계적으로 온실가스를 줄이는 노력이 절대적으로 필요한 시점입니다.

 

출처 : 2021년 이상기후 보고서(관계부처 합동)